1. 실제 결제 시스템 현업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1. PG사가 제공하는 거래시스템 거쳐 결제를 하게 됨
    2. 자체적인 페이시스템 내는 경우 증가 (수수료 줄이고, 결제 시스템 정보 확보)
    3. 보안로직 이미 완성
  2. 프로젝트에서 적용
    1. 어떤 것을 이 프로젝트에서 가져갈 지 정하기
    2. 농협에 특화된 아이디어 (안정, 돈)
    3. 금융권 관련 아이템(이체, 적금 뿐만 아니라 금융 관련 고민)이 들어갔으면 좋을 것 같음
    4. 보안적으로 들어갈 특별한 로직은 따로 없음
  3. 페이 시스템 어떤 아키텍쳐 이뤄지는지 궁금합니다.
    1. 과거는 가맹점마다 결제할 수 있는 카드가 따로 있음
    2. 현재는 오프라인 대행사(PG) 등장
  4. 은행권에서 FE 입장에서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1. 제일 화두가 되는 것은 사용성 개선 → 토스 참고하기 (사용자가 어떤 것을 동의했는지도 모르게 동의하게 만드는게 허점)
    2. UI/UX 개선을 어떻게 할까!?
      1. 단계 줄이기
      2. 속도 줄이기
    3. 기술적인 발전보다는 사용성이 중점적
  5. 미니 뱅크(입금, 출금, 계좌이체)를 하나 만들어보려고 하는데 실제로 은행 시스템을 몰라서 그런데 이걸 토이 프로젝트로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1. 거래 요소를 가지고 있음
    2. 거래 단위를 일단위로, 계산 (상계 처리)
  6. CBDC 관련 준비하고 있는게 궁금합니다.
    1. 한국은행 쪽에서 정립이 안되어 있고 법률적 검토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아직까지는 시중은행이 따라갈 수 없음
    2. 시중은행은 아직 시스템을 만들고 있지 않음
    3. 내부적 칭찬 토큰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소비자 제공 시스템은 없음
  7. 서비스 기업 페이 시스템이 전통 은행과 인터넷 중심 은행의 결제 시스템이 다른지 궁금함
  8. 애플 인앱 결제 때문에 기존 은행 감소하는데 대응법이 궁금함
    1. 라이센스 상에서 보호 받았던 것을 많이 침범 받고 있음
    2. 이자 장사를 한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내에서는 은행은 제도적으로 상당히 제한 중이며, 현재 풀어주는 중임 (새로운 시장을 열기)
  9. 전통적인 은행이 현재 사용성 개선 하는 부분과 인터넷 뱅킹과 다르게 사용성 개선에 대한 한계점이 무엇인지 궁금함?
  10. 은행 관련 보안 공부 어떻게 하면 좋을지
    1. 금감원 홈페이지 가서 공식적인 자료 찾아보고 대응방식 공부하기
  11. 금융권 관련 지식이 없는 개발자 금융권 취직을 준비하기 위해서 어떻게 준비해야할 지
    1. 관심이 많아서 관련된 도메인 지식 알고 있고 개발 능력 출중
    2. 모든 도메인을 커버할 수 있는 도메인 지식을 가질 수 없어서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하기
    3. 원하는 회사 분석, 그와 관련된 도메인 공부하여 ex. 은행에서 공통적으로 가진 이슈 분석하고 개발 경험 잘 엮기
  12. 금융권(SM 역할)에 가면 개발적으로 성장할 기회가 많이 있을까요?
    1. 금융권 → 타산업, 타산업 → 금융권 사례가 많이 없음
    2. 은행에서는 순혈주의(공채) 올라가는 것이 정석
    3. 제너럴리스트를 딥 한 부분에 꽂아 넣으려고 하니까 힘들어서 영입하려는 것이 보통
    4. 개발적으로 능력을 높이고 싶으면 분위기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그런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음 (토스, 카카오뱅크 제외)
    5. 안전성은 최고
    6. 개발을 은행권에서 5년 내로 하게 되면 같은 금융권으로 옮기기 힘듦 (트렌드 따라가기 힘듦)
    7. 금융권은 보수가 높으나 비슷한 수준의 연봉을 받으려면 개발 능력이 녹슬어 있는 경우가 많음
    8. 원래는 외주(SI)를 맡겼지만 점차 내부적 기능으로 올리려고 함

멘토링 사전 질문